티스토리 뷰
실업급여계산법 모의계산기 안내
헤이즈@ 2022. 11. 17. 21:24
실업급여계산법 모의계산기 안내
어서오세요 7시간 블로그입니다. 다음은 실업급여에 대하여 즉시 살펴보았는데요. 고용보험에 가입이 되어있다고 한다면 받아볼수 있어요. 자격조건과 수급일, 수급금액이 전부 달라 질 수가 있습니다. 그렇기에 오늘은 실업급여를 모의 계산해 드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리는 이 제도는 고용보험에서 지원하고있는 제도인데요. 우리 모두가 급여를 받기전에 미리 원천징수 되어지는 4대보험중에 하나로 들어가있죠. 단순히 회사를 퇴사했다고 해서 받아볼수있는게 아니랍니다. 이번엔 그 자격요건과 모의계산 알아보도록 할건데요.
고용보험 실업급여는 실직을 해서 재취업을 준비하시면서 생계의 안정을 도와주며 재취업의 기회를 부여하기 위해 지급이 되어지는것이기에 절대적으로 위로금의 명목은 아닙니다. 실업급여 계산방법에 의해 개개인 전부가 달라집니다.
수급요건부터 살펴보도록 할건데요. 먼저 18개월간 180일 이상의 근무를 해야 하죠.
또한 근로의사가 있기도하며 근로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취업이 잘되지 않으실때 가능하며, 재취업의 노력을 지속 적으로 하여야 합니다. 또한 가장 상당히중요한 부분들이 자발적으로 퇴사하신게 아니어야하군요
실업급여는 고용보험 가입기간과 수급자의 연령에 따라 그 초대기간이 정해지게 돼요. 최소 90일에서 최대 240일까지로 되어 지죠. 지금 2017년 1이 상한액은 46584원입니다. 이 금액은 항상 바뀌는데요. 급여 계산하게될 때 다시 말씀드려 보도록 해보려 하는데요.
평균적으로 퇴직 삼개월전의 1일 평균임금의 50%로 아시고있지만 전부가 50%로 받으시는것은 아니더군요. 최대치 상한액이 정해져있으니 고소득자 역시 상한액으로 받아 보게 되어지며, 기존 소득이 낮으셨던 분들 이라고 한다면 실업급여 하한액에 맞춰지게 돼요. 하한액은 최저임금의 90% x 지급일수로 결정돼요.
자 그럼 간편하게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해둘겁니다. 계산을 해드리는방법은 고용보험 홈페이지를 이용을 하는법입니다. 이 방법이 가장 간단하시면서도 정확합니다. 수기로 계산하시게 될 필요없이 오토로 지급일자, 최대상한액을 확인을 해보고 전체 금액도 알아볼수가 있어요.
사이트로 들어가준 후에 위의 메뉴중에서도 고용보험제도를 눌러주시기 바래요. 그렇게 하고 개인혜택을 선택해보시고, 모의계산 버튼을 눌러보세요. 그럼 어렵지 않게 꽁짜로 확인해볼수가 있도록 소개가 나오게됩니다.
이런식으로 실업급여계산법이 적용되어진 모의계산기가 나오죠.
그냥 계산하는건 정확하지 않으니 이러한 방법으로 자동 모의 계산기를 사용을 하셔서 실제 1일 수급액과 지급일수, 총 예상수금액을 전부 확인을 해 주시고 구인구직활동 계획을 세워보신다면 될걱 같네요. 이번의 포스팅 참고가 되셨길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