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자기앞수표 조회 방법 알아보자
헤이즈@ 2023. 7. 24. 18:36
최근 자기앞수표를 발행하고 난 후 해당 수표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조회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자기앞수표 조회 방법이 다양하게 존재하며, 각 은행마다 차이가 있어서 혼란스러운 경우도 많다. 이에 따라, 자기앞수표 조회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자기앞수표란?
자기앞수표는 은행명의로 발부해주는 보증수표로 발행일로부터 10일간 유효하다. 또한, 해당 은행이 폐업하기 전까지 사용 가능하다. 자기앞수표의 종류와 금액, 발행일 등을 입력하면 해당 수표의 상태를 조회할 수 있다.
자기앞수표 조회 방법
각 은행마다 자기앞수표 조회 방법이 차이가 있으므로 해당 은행 홈페이지에서 확인해야 한다. 대표적인 은행인 국민은행에서는 홈페이지와 앱을 통해 자기앞수표 조회 서비스를 제공한다.
국민은행 자기앞수표 조회 방법
- 국민은행 홈페이지에서 [빠른 조회] 버튼을 클릭한다.
- [자기앞/어음 수표사고신고 조회] 탭을 선택한다.
- 수표번호, 종류, 금액, 발행일, 발행점 번호, 발행은행, 조회의뢰인 정보를 입력한다.
- [조회] 버튼을 클릭한다.
농협중앙회나 단위농협에서는 자기앞수표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국민은행 앱에서도 자기앞수표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며, 메뉴아이콘을 클릭한 후 [개인뱅킹]의 [자기앞수표 조회]를 선택하면 된다.
다른 은행에서 자기앞수표 조회 방법
타 은행의 자기앞수표 조회를 원할 경우, 해당 은행 홈페이지에서 조회 가능하며, 발행일을 추가로 입력해야 한다. 모바일 앱을 통해서도 조회 가능하다.
주의사항
자기앞수표는 현금이 아니라 증서이므로, 수령한 즉시 도난이나 위조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우리은행 자기앞수표 조회 방법
우리은행에서는 PC와 모바일에서 보안 프로그램 설치 없이 자기앞수표를 조회할 수 있다. 국민은행이나 농협에서도 자기앞수표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보안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하다. 농협에서 발행된 수표는 농협 페이지에서만 확인 가능하다. 자기앞수표 조회를 위해서는 수표번호, 발행점번호, 수표종류, 수표금액 등을 꼼꼼하게 입력해야 하며, 이 정보를 기입한 후 [조회] 버튼을 클릭하면 수표의 상태가 조회된다. 모바일에서도 거의 모든 은행의 뱅킹 앱에서 자기앞수표 조회 서비스를 제공한다. KB스타뱅킹 어플에서는 검색란에 수표 또는 자기앞수표 조회를 입력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뱅킹 앱에서는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검색을 이용해보자.
마무리
자기앞수표는 유효기간이 짧으므로, 발행 후 빠르게 확인해야 한다. 각 은행별로 자기앞수표 조회 방법이 조금씩 차이가 있으므로, 해당 은행의 홈페이지나 앱을 통해 확인해야 한다. 또한, 수표를 수령한 후 반드시 도난이나 위조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그러므로, 자기앞수표를 발행하고 나서는 해당 수표의 상태를 빠르게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각 은행별 자기앞수표 조회 방법을 꼼꼼히 확인하여 불필요한 피해를 방지하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