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EMP 펀드(ETF Managed Portfolio)는 여러 개의 ETF 상품을 조합하여 분산 투자하며, 현재의 금리 상승과 지정학적 불안 속에서 안정적인 투자를 고려하는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선택입니다.

EMP 펀드 | 테마별 펀드

 

EMP 펀드의 장점

EMP 펀드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다수의 ETF와 다른 종목에 투자하여 큰 분산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개별 ETF를 직접 관리할 필요가 없어 편리합니다.
  • 주식형 펀드에 비해 낮은 변동성으로 투자자의 안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EMP 펀드의 단점

그러나 EMP 펀드는 다음과 같은 단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 직접 ETF에 투자하는 것보다 높은 수수료를 부담해야 합니다. 이로 인해 장기적으로 수익률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전성을 중시하는 만큼 기대 수익률이 주식형 펀드에 비해 낮을 수 있습니다.

 

현재의 어려운 시장 상황에서 안정성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EMP 펀드는 유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와 같은 상품은 이미 충분한 분산 효과를 제공하며, EMP 펀드의 높은 수수료로 인해 장기적으로 수익률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모든 투자는 장단점이 있으므로 자신의 투자 성향과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EMP 펀드의 성장과 순자산 현황

EMP 펀드 규모

  • 2016년: 668억 원
  • 2018년: 2108억 원
  • 2020년: 8350억 원
  • 2022년: 1조 4084억 원

 

국내 EMP 펀드 종류 및 순자산

  1. 키움 불리오 글로벌 멀티에셋 EMP펀드: 순자산 291억 원
  2. NH-Amundi글로벌 대체투자 인컴 EMP펀드: 순자산 79억 원
  3. 현대 글로벌 EMP펀드 1(언헤지): 순자산 37억 원
  4. KB올에셋 AI설루션 증권 자투자신탁: 순자산 366억 원
  5. 삼성 밀당 다람쥐 글로벌 EMP펀드: 순자산 175억 원
  6. 다올 KTB글로벌 EMP펀드: 순자산 38억 원
  7. KB글로벌 주식 설루션 펀드: 순자산 1058억 원
  8. 삼성 EMP리얼 리턴 플러스 펀드: 순자산 18억 원
  9. 삼성 EMP리얼 리턴 펀드: 순자산 25억 원
  10. 멀티에셋 글로벌 EMP월배당 인컴 증권투자신탁: 순자산 50억 원

 

2022년 5월 기준 EMP 펀드 수익률 순위

  1. 키움 불리오 글로벌 멀티에셋 EMP펀드: 16.48%
  2. NH-Amundi글로벌 대체투자 인컴 EMP펀드: 12.62%
  3. 현대 글로벌 EMP펀드 1(언헤지): 10.32%
  4. KB올에셋 AI설루션 증권 자투자신탁: 7.10%
  5. 삼성 밀당 다람쥐 글로벌 EMP펀드: 6.89%
  6. 다올 KTB글로벌 EMP펀드: 6.62%
  7. KB글로벌 주식 설루션 펀드: 6.59%
  8. 삼성 EMP리얼 리턴 플러스 펀드: 6.59%
  9. 삼성 EMP리얼 리턴 펀드: 4.86%
  10. 멀티에셋 글로벌 EMP월배당 인컴 증권투자신탁: 3.58%

이 정보는 2022년 5월까지의 자료이며, 출처는 애프앤가이드입니다.

 

결론

EMP 펀드는 다양한 ETF를 활용하여 분산 투자를 통해 안정성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선택입니다. 그러나 수수료와 예상 수익률을 고려하여 신중한 결정이 필요합니다.

EMP 펀드 | 테마별 펀드

댓글